지난 8일 기아의 차세대 준대형 세단 K8이 정식 출시됐다. 먼저 하이브리드를 제외한 3.5리터 가솔린, 2.5리터 가솔린, 3.5리터 LPI 승용 모델부터 출시됐는데, 동시에 3.5리터 LPI 엔진을 기반의 택시 모델도 출시했다. K8 택시는 최고출력 240마력, 최대토크 32.2kg.m를 발휘하는 3.5리터 LPI 엔진과 8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된다. 고급화 전략을 위해 차명까지 K7에서 K8로 변경했지만, 신차 출시와 함께 택시 모델을 동시에 출시해 주목된다. 보급형 모델이라는 인식이 강한 택시가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깎아내린다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현대차와 기아는 신형 쏘나타와 K5 출시 당시 택시 이미지를 탈피하고, 고급화를 위해 구모델(7세대 쏘나타, 2세대 K5)을 택시 전용 모델로..
기아가 다음 달 초 출시 예정인 K8의 주요 사양과 가격을 공개하고 23일(화)부터 사전계약을 시작한다. K8은 기아의 새로운 지향점을 보여주는 첫 번째 모델로 프리미엄 준대형 세단에 걸맞은 편안하고 안정적인 주행성능, 운전의 부담을 덜어주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모든 승객을 위한 편안하고 쾌적한 탑승 공간, 감성적 만족감과 편리한 연결성을 겸비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이 특징이다. K8은 2.5와 3.5 가솔린, 3.5 LPI 등 총 3가지 모델로 사전계약을 시작하고 상반기 중 1.6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모델을 추가할 예정이다. 차별화된 주행 성능, 국산 준대형 세단 최초 AWD 적용 기아는 K8 3.5 가솔린 모델에 국산 준대형 세단 최초로 전륜 기반 AWD(All wheel drive, 사..
기아 K7의 풀체인지 모델인 K8에 현대-기아차 준대형 세단 최초로 사륜구동 시스템이 탑재된다. K8의 사륜구동 시스템은 전륜구동 기반 전자식 사륜구동 시스템으로 최근 환경부의 배출가스 및 소음인증을 완료했다. 환경부의 배출가스 인증 정보를 통해 확인된 기아 K8 사륜구동은 라인업 중 가장 최상위 파워트레인인 3.5리터 가솔린 모델에만 탑재된다. 3.5리터 가솔린 엔진은 최고출력 300마력, 최대토크 36.2kg.m를 발휘하는 3리터 가솔린 엔진과 8단 자동변속기와 조합을 이뤄 여유로운 출력과 부드러운 주행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K8 3.5 GDI AWD 모델의 공차 중량은 1,705kg으로 전륜구동 모델의 공차중량 1,640kg 대비 65kg 무겁다. 또한 전륜구동 모델 대비 높은 구동 손실로 ..
4일(목) 기아자동차의 차세대 K7인 K8의 실내 디자인이 공개됐다. 공개된 실내 디자인은 파격적인 외관 디자인과 달리 1등석 공항 라운지에서 영감을 받아 편안하고 고급스러움에 초점을 맞춰 준대형 세단의 품위를 지킨 것이 특징이다. 현재까지 기아에서 정식으로 공개한 K8의 외관과 실내의 핵심을 다섯 가지로 정리했다. 왠지 낯선 디자인, 범퍼 일체형 라디에이터 그릴 기아 K8의 전면부는 새로운 신규 기아 로고가 적용되며, 테두리가 없는 범퍼 일체형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됐다. 라디에이터 그릴의 형상은 있지만, 일반적인 모델과 달리 테두리 경계선과 그릴 내부에 별도의 구분을 두지 않고, 바디와 동일한 색상을 사용한다. 기존 일반 내연기관 모델에서 보기 드문 방식으로 낯선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 기아 K8만의..
17일(수) 기아의 차세대 준대형 세단인 K8의 외관 디자인이 공개됐다. K8은 기존 기아의 준대형 세단 K7의 3세대 모델로 바뀐 차명에 걸맞은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대형 급 차체 크기를 갖췄다. K8의 차체 크기는 정확히 공개되지 않았지만, 공개된 전장은 5,015mm로 제네시스 G80보다 20mm 더 긴 차체 길이를 자랑한다. 이와 함께 16일 K8에 탑재되는 4개의 파워트레인의 소음, 배출가스 인증을 마치고 출시를 앞두고 있다. 엔트리 파워트레인 2.5리터 가솔린 기아 K8의 엔트리 파워트레인은 스마트스트림 2.5리터 가솔린 엔진과 8단 자동 변속기의 조합이다. 현행 K7과 현대 그랜저에 탑재되고 있는 2.5리터 가솔린 엔진은 최고출력 198마력 최대토크 25.3kg.m를 발휘한다. 파워트레인은 기..
기아가 17일(수) K8의 외장 디자인을 공개했다. K8은 기아의 준대형 세단 K7의 후속 모델로 새로운 차명에 걸맞은 혁신적이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갖췄다. 특히 공개를 앞두고 있는 기아의 신규 디자인 정체성을 반영해 디자인 요소 간의 대비와 조화로움을 외장 전체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K8의 전면부에는 브랜드 최초로 알루미늄 소재의 신규 엠블럼이 적용돼 기아의 새로운 세대를 여는 첫 번째 모델임을 알린다. 테두리가 없는 범퍼 일체형 라디에이터 그릴은 다이아몬드에서 영감을 받은 보석같은 패턴을 따라 빛이 움직이는 모습을 구현해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강조했다. 라디에이터 그릴 양 옆에 위치해 주간주행등과 방향지시등의 기능을 하는 ‘스타 클라우드 라이팅’ 또한 라디에이터 그릴과 동일한 다..
지난 9일 기아는 온라인을 통해 중장기 전략 ‘Plan S’를 재점검하고 구체화된 사업 전략을 소개했다. 여기에 앞으로 출시하게 될 기아의 첫 번째 전용 전기차 CV 공개, 출시에 대한 내용과 함께 앞으로 출시될 전기차에 HDP가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HDP는 ‘Highway Driving Pilot’의 약자로 기존의 현대자동차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인 HDA(Highway Driving Assist)보다 한 단계 진화된 기술이다. 현대기아차의 HDA는 자율주행 레벨을 기준으로 레벨 2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로 차간거리 유지, 차선 유지, 내비게이션 위치정보의 상호 작용을 통해 본격적으로 운전자가 자율주행 기술을 체감할 수 있는 단계다. 하지만 주변 환경 모니터링과 안전에 대한 책임을 운전자가 부담해야하..
3월 공개를 앞둔 기아의 첫 번째 전기차 전용 모델 CV의 실내 스파이샷이 포착됐다. 스웨덴 설원에서 테스트 주행 중 포착된 기아 CV의 스파이샷에는 분할형 와이드 디스플레이, 전자식 변속 다이얼, 송풍구 디자인 등 실내 디자인 대부분의 요소를 확인할 수 있다. CV의 계기판과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는 하나로 통합된 일체형 플로팅 타입으로 적용되었다. 다만 계기판과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는 각각의 디스플레이로 분할되어 있다. 메르세데스 벤츠 모델의 구성과 유사한 모습인데,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적용해 차별성을 두었다. 이외에 새로운 버튼 레이아웃이 적용된 스티어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송풍구는 크래시패드 끝 단에 얇고 길게 연결된 슬림한 형태다. 송풍구 하단에는 앰비언트 라이트를 적용해 고급감을 더했다..
기아차는 9일(화) 온라인 채널을 통해 CEO 인베스터 데이를 개최해 ‘Plan S’의 3대 핵심 사업과 세부 전략, 중장기 재무 및 투자 목표를 공개했다. 이와 함께 기아의 첫 번째 전기차 전용 모델인 CV(프로젝트명)의 공개 일정과 출시 일정을 공개했다. CV는 현대기아차의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가 적용된 기아의 첫 번째 전용 전기차다. 기아의 EV 콘셉트카인 이매진 바이 기아의 디자인 요소가 적용된 CV는 해치백 스타일의 현대 아이오닉 5와 달리 패스트백 형태의 루프 라인을 적용해 보다 날렵한 모습이다. CV에 적용된 E-GMP 플랫폼은 기존의 내연기관 플랫폼을 활용해 개발했던 니로 EV와는 달리 오로지 전기차 생산을 위해 개발된 플랫폼으로 낮은 무게중심, 짧은 오버행, 긴 휠베이스..
기아가 봉고 3 EV 특장차의 판매를 시작한다고 9일(화) 밝혔다. 봉고 3 EV 내장탑차(저상형/표준형/플러스형), 파워게이트, 윙바디는 지난 2020년 1월 출시한 봉고 3 EV 초장축 킹캡 기반의 특장 모델이다. 봉고 3 EV 특장차는 최고출력 184마력(135kW) 모터와 58.8kWh 배터리를 탑재해 등판 능력이 우수하며 완충 시 177km를 주행할 수 있다. 저상형 내장탑차는 지하 주차장(높이 2.3m 기준) 출입이 가능하며 표준형/플러스형 내장탑차는 각각 1,580mm, 1,810mm의 화물실 높이를 갖춰 많은 양의 화물 적재가 용이하다. 화물실 측면을 날개처럼 열 수 있는 윙바디 모델은 측면 도어 개방 시 화물실의 개방감이 우수해 화물을 싣고 내리는 것이 편리하다. 파워게이트는 모터를 이용..
기아 차세대 니로의 예상도가 공개됐다. 예상도는 해외자동차 전문 매체인 카스쿱스에 게재된 차세대 니로의 예상도는 그동안 촬영된 스파이샷과 EV 크로스오버 콘셉트카인 하바니로의 디자인의 조합으로 완성됐다. 먼저 차세대 니로의 헤드 램프는 보닛 하단으로 이동하며, 기존 1세대 니로 대비 더 하단에 위치한다. 주간주행등 그래픽은 하바니로 콘셉트카와 유사한 형태다. 헤드램프 하단에 심장박동 형태의 주간주행등을 적용하는 것은 최근 기아 SUV에 적용되는 형태로 기아자동차 SUV의 디자인 코드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신형 니로는 정통 크로스오버 형태의 기존 니로와 달리 D 필러가 급격하게 꺾이는 루프라인이 특징이다. 기존에 포착된 스파이샷은 위장막 내부의 스펀지 구조물을 이용해 이를 감추려 했지만, 세로형 테..
2021년 2월이 시작되며, 올해 첫 달인 1월 국산차 판매량이 집계됐다. 지난 1월 국산 5개 제조사의 판매량은 11만 6,270대로 지난해 1월 대비 약 16.7% 증가했지만, 지난 12과 비교하면 10.7%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기아차를 제외한 모든 브랜드의 내수 판매가 감소세를 보였는데, 제네시스를 포함한 현대기아차의 점유율은 약 86.9%로 독과점 양상을 이어갔다. 10위. 현대 싼타페 (4,313대) 1월 국산차 판매 10위는 현대 중형 SUV 싼타페가 차지했다. 판매량은 4,313대로 전월대비 18.9% 감소했고, 순위 역시 1순위 하락했다. 페이스리프트 모델 출시 후 상대적으로 저조한 판매량을 보였으나, 최근 재고차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어 준수한 판매량을 유지하고 있..
2020년 2월이 시작되며 국산 5개 제조사에서는 다양한 프로모션으로 시장 확대에 나선다. 특히 전반적으로 내수 판매가 저조했던 1월의 실적을 회복하기 위해 공격적인 프로모션을 준비했다. 여전히 비인기, 재고 모델에 할인이 집중되어 있지만, 합리적인 구매를 원하는 소비자들에게는 충분히 매력적이다. 새로운 시작, 설레는 혜택 르노삼성자동차 르노삼성의 2월 프로모션은 새로운 시작, 설레는 혜택을 주제로 전 차종 30만 원의 추가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대상은 구매 고객 본인 또는 가족이 유치원, 초중고, 대학을 2020년에 입학했거나, 2020년 7월 이후 입사, 개업, 신규 운전면허, 신혼, 출생 등을 신고 또는 취득했을 경우다. 인기 모델인 QM6는 가솔린, LPe 구입 고객에게 각각 150만 원, 50..
Copyright © 오토버프 All Rights Reserved